티스토리 뷰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사용방법

이번엔 4대 보험중 하나인 건강보험에 대하여 소개를 해드리도록 할건데요. 직장에 다니시면 사업장가입자로 가입이 되어지실거에요. 그렇지만, 따로 개인사업을 하시거나 하시다면 아마도 지역가입자로 가입되어 지시는 분도 있으실거에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이번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를 이용하셔서 본인의 소득이나 자산 상태에 따른 실제 보험료가 얼마나 나오는지 미리 체크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를 해보도로록 할거에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오늘 준비해본 내용를 해드리는 주제는 바로 상단에보시는것 처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확인해 보는방법이에요. 네이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라고 입력을 해보면 돼요.

조금이나마 더욱더 편리하게 이동을 하려고 하면 주소 [www.nhis.or.kr]을 입력을 해보게 되면 바로 사이트로 이동을 할수가 있으실 거에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홈페이지로 이동을 했으면 위의 메뉴중 민원접수를 눌러주시기 바래요. 그렇게 하고 보험료납부 부분으로 들어가보셔서 계산메뉴료 이동을 해 주셔야하게 되는데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왼쪽에 보면 '4대보험료 계산'메뉴가 있을 겁니다. 이 메뉴를 사용을 해서 4대보험료와 건강보험료까지 계산을 해볼수가 있으시죠. 입력값에 따라서 진짜로 부과가 되어지는 금액을 미리 예상해볼수가 있어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상단에 보면 지역가입자, 사업장가입자로 분류가 되어져있을겁니다. '지역가입자'로 클릭해주세요. 또한 스클로 바를 아래쪽으로 내려보세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그러면 이렇게 지역가입자에 관련된 보험료 계산을 미리 해보시는 계산기 기능들이 나오도록 되어 지실 거예요. 아래쪽에 보면 '지역보험료계산하기'버튼이 있네요. 이곳을 클릭해 주시게 되면 바로 계산기가 나와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이 위치에 방문하신 분들의 인적정보, 또한 자동차, 재산, 소득에 대해서 입력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부 입력을 해보게 되면 해당 조건에 따른 지역건강보험료 계산 결과가 전부 나오게 되어지는데요. 궁금하셨었던 분들은 올려드린 계산기 사용을 하셔서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